[가디언블러드]RUN AI SCRIPT AT LOCATION에 대해 알아보자. 내용 많이 추가 ^^

이 글은 인투더맵의 가디언블러드님이 작성하신 글입니다.

-------------------------------------------------------------------------------------------

나름대로 이제 맵을 제작하면서 노하우를 터득한 (?) 신생 맵메이커 가디언블러드입니다.

언제나 텍스트여서 죄송합니다 (__) 다른 프로그램은 잘 못다뤄서...

하여튼 이번엔 제목대로 AI 트리거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AI =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적인, 인간이 만든 지능.... 뭐 그러니까 컴퓨터에게 지식과 생각능력을 부여한다라고

대충 생각하시면 되겠네요.

LOCATION 을 넣지 않은 AI는 시야 끄고 키는 것 밖에는 별 거 없습니다.

그러므로 로케이션을 요하는 AI에 대해서만 알아봅시다.






1. ~ Campaign.


밀리와 비슷한 인공지능입니다.

Zerg Campaign 이라고 해주면 전형적인 컴퓨터의 저그 성장 방식대로 저그를 키워나가구요.

Terran Campaign이라고 하면 위의 것과 같이 컴퓨터 나름대로 테란을 성장시킵니다.



그런데 뒤에 뭐가 더 붙는데 이건 뭐냐구요?

난이도입니다.




컴까기에 주로 사용되는 이 트리거는

Easy 부터 Insane 레벨 까지 있습니다.

Easy는 말 그대로 쉽습니다. 기초적인 유닛만 뽑고 고급 유닛은 나오지 않습니다.

Medium, Hard, Insane.

대충 어떻게 달라질지 예상 가시죠?

Insane의 경우 모든 경우가 다 나옵니다.

다크 스웜을 이용하는 건 물론 핵까지 쏘게 되죠.

최상위 마법, 최상위 몹들, 최상위 운영능력...

컴퓨터의 모든 것을 보여주는 트리거입니다.





이 외에도 여러가지 다른 것들이 있습니다. Terran Town, Zerg Town 등....

뭐 일일이 다 설명할 수는 없습니다만 이것만은 알아두시면 좋습니다.

무슨 괄호가 계속 등장하는데

(예: Medium D/Hard A)

D는 '방어수준' 을 말해주고, A는 '공격수준' 을 말해줍니다.

즉 원하는 플레이에 따라서 다른 인공지능 주입이 가능 ^^

단 자원이 없으면 실행이 불가능하므로 미네랄을 캐게 하기 싫으시면 자원을 올려주는

트리거를 이용해보세요.

(참고: no 가 붙으면 그 해당사항은 아예 안함! 즉 방어는 안하거나 공격을 안함)





2. Value This Area Higher




영어를 해석해보면 바로 답입니다. '이 지역을 조금 더 중요하게 여긴다'


예를 들어 본진이 털리고 있는데 그 지역도 털리고 있으면


컴퓨터는 선택을 합니다. 그 지역으로 전군을 몰고가겠죠.


예를 들어 무슨 오버마인드가 있는데 그 지역을 특히나 보호하게 하고 싶다면


이 트리거를 쓰시면 도움이 되겠습니다. ^^




3. Help When Trouble



지금 밖이라서 정확한 단어는 모르겠지만

비스무리한 게 있을겁니다.

이 것은 위험할 때 도와주는 트리거입니다.


실험해본 적이 없어서 이 지역이 위험할 때 도와주는 건지

다른 지역이 위험할 때 이 곳에서 도와주는 건지 잘 모르겠지만

아무래도 다른 곳이 위험한 지에 대한 정확한 구분이 없으니

'이 지역이 위험하면 다른 곳에서 도움이 온다' 라는 인공지능을 주입하는 것 같습니다.

컴까기에서 5:3인데 테란, 저그, 프로토스가 컴퓨터라면

좀 더 난이도를 올리려면 테란 털고 있을 때 저그나 프로토스가 도와주게 하면 되겠군요 ^^






4. Make These Units Patrol (to the upper left corner)


이 지역의 유닛들을 왼쪽 위쪽의 구석에 패트롤 시키는 트리거입니다.

인간들의 본진을 그 곳에 두고

컴퓨터를 오른쪽 아래 구석에 놓는다면

좀 좋은 활용이 되겠군요. 후후후


특히 이 트리거는 Elapsed Time 에 따라서 발동 유무를 바꿔주면

언제 공격을 가하는지에 대해서 조절이 가능합니다.







5. Enter Transport / Exit Transport


이 지역의 유닛들을 가장 가까운 수송선 (오버로드, 셔틀, 유그드라실 (오버로드 영웅), 드랍쉽)

에 탑승하게 합니다. 정확히는 이 지역의 Men들이죠.

이걸 이용해서 컴퓨터 드랍 작전을 펼칠 수도 있습니다.

예제:

Enter -> Order Move -> Exit



Exit은 수송선 안의 유닛들이 그 곳에 내리게 하는 것 같습니다.

뭐.. Exit은 저도 불확실하지만 위의 제 설명이 맞을 확률이 높은 것 같군요. 죄송합니다 ㅠㅠ

참고로 Human 플레이어도 적용됩니다. 제가 알기로는~

모든 유닛들이 들어갈 수 있게 할려면

Wait 를 조금 줘서 모두 들어갈 시간을 주면

정해진 유닛들이 모두 탑승하겠죠? ^^







6. Nuke Town



이 것도 다른 Campaign AI와 비슷하지만 유형이 다릅니다.

테란의 경우에만 가능한데, 핵기지를 많이 건설합니다.

그리고 핵을 많이 생산하는... 쏘기도 합니다.

쏘기도 하지만 어떤 특정 지역에 쏘지는 않습니다.

아무래도 유닛이 몰린 한 곳에 쏘게 되겠죠.

아무래도 이걸로 '컴퓨터 핵피하기' 도 될 것 같군요. 하하하...

뭐 아무래도 핵을 미리 생산해두면 더 좋겠지만.

제가 궁금한 것 중 하나가 유닛으로 미리 맵에 배치해둔 핵의 발사 가능유무입니다.

된다면 컴퓨터 핵피하기는 만들기 쉬울 듯? 흐흐....

뭐 컴퓨터라서 좀 멍청하겠지만







7. AI Nuke Here



이 로케이션에 핵을 발사하는 것입니다.

물론 핵이 필요하고요.

핵이 몇개인지 고스트가 몇마리인지에 따라서 쏘아지는 핵의 갯수가 달라질지도 모르겠습니다.

AI는 너무 많아서 일일이 실험하긴 힘든데 곤란하군요...



하여튼 이 곳에 핵을 날린다는 것만 알아두시면 되겠습니다.

한마리가 한 미사일만 쏘게 하려면

핵 미사일을 하나 만들 자원만 준 다음에

고스트 한마리만 생성하면 되겠죠?







8. AI Harass Here


처음엔 Harass가 낯선 단어여서 몰랐는데

사전에 검색해보니 '괴롭히다, 못살게 굴다' 등 이런게 나오더군요.

이게 무엇이냐 하면 이 특정 지역에 특별히 공격을 많이 가하게 하는 겁니다.

그러니까 대부분의 유닛을 이 곳에 다굴시킨다는 거죠.

컴퓨터 오펜스 (보통 디펜스와는 조금 다를 듯... 디펜스는 그냥 컴퓨터의 주어진 유닛으로

쳐들어가는거니) 같은 것도 가능하겠군요.


아니면 서로 유닛을 뽑아 컴퓨터끼리 싸우던가 (이런 건 다른 트리거로도 얼마든지 대체 가능할텐데...)


그다지 쓸모 있는 트리거는 아닌 것 같군요.




9. Cast Recall (Arbiter Required)



리콜을 하는거죠.

프리져브를 넣어주면 계속 리콜을 해주나

마나가 부족하면 사용하지 않습니다.

대부분 이펙트로 사용하는데

컴퓨터 플레이어가 유닛이 있는 곳에 리콜을 시전할 경우

실제로 리콜이 됩니다. 미션맵 등에 적절하겠군요. 영상맵은 다른 트리거로도 가능하고....





10. Enter Nearest Bunker


가장 가까운 벙커를 들어가는 겁니다. (테란 바이오닉 유닛에 한함.)

또 기발한 아이디어 발견!


구석마다 컴퓨터에게 시민을 만든 다음에

중앙에 있는 벙커로 들어가게 트리거를 설정 후

들어가지 못하게 방해하는 게임~ 흐흐

(아이디어는 굉장히 많은데 만들 시간도 없고 만들기도 귀찮고 ㅠㅠ)

이건 인간 플레이어도 됩니다.

단 들어가지 못하는 상황일 때에는 먹히지 않습니다.






11. Issue Unit Order To: Junk Yard Dog (Roam Around)


Junk Yard Dog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정야독' 으로서

유닛들을 마구 이동시키는데에 이동되죠. 폭피에서 유닛들이 마구 뛰어다니고 춤추는게

이걸 이용한 겁니다. 주로 친구들 이름을 적어두거나 테스터 이름을 적어두고 하죠 ^^

신기한게 있다면 건물도 적용됩니다. 띄워진 테란 건물도 적용이 되고

터렛도 적용이 됩니다. 나머지는 안되는 걸로 알구요

정야독은 프리져브를 먹여주면 더 짧은 간격으로 방향을 틀고 휘젓고 다닙니다.

프리져브를 안넣으면 그냥 돌아다니는 것 같죠.

벌쳐가 하면 스케이팅을 하는 것 같더군요. 하하하....

Junk yard dog을 대충 해석해보면요 (사전 해석으로는 불가능)

쓰레기더미 근처의 개들... 즉 광견들이라고 보면 됩니다.

쓰레기를 먹기에 굶주려서 계속 찾고 물고 찢고 하는....

옵저버 피하기 블랙홀 피하기 등등 모든 피하기 등에는

이것들이 사용됩니다. 안 그러면 상당한 노가다를 해야함....

여러모로 잘 쓰이는 트리거니 잘 알아두세요!

(P.S: 뉴트럴이나 휴먼 플레이어는 적용 안됩니다. 레스큐어블 (구조가능) 도 안되구요

컴퓨터 플레이어만 되는 걸로 알고있습니다.)




12. Harvest Town, Area Town



Harvest = 수확.

미네랄만 캡니다 이 인공지능들은.

가스통을 가져다줘도 가스 안캐구요.

SCV로 수리 같은거 하고 하는데

신기한 점은 오직 미네랄만 캐려고 안간힘을 쓴다 이겁니다.

뮤탈한테 방해를 받고 도망을 가도

1초내에 후속공격이 없으면 다시 미네랄로 SCV가 이동합니다.

공격유닛이 있어도 쳐들어오는 병력을 방어하기만 하고

건물도 짓지 않고 그냥 주어진 상태에서 자원만 캐고 방어만하면서 유지합니다.

이걸로 저는 일꾼잡기 컨트롤을 제작중... 흐흐흐




가스도 꼭 캐게 하고 싶다! 하는 분들은

Campaign Easy를 만든 다음에

모든 건물 짓기를 불가능으로 해두세요.

유닛도 불가능으로 하시구요.

Campaign Easy + Harvest Town = 가스와 미네랄을 다 충실히 캐는 일꾼 근성 발휘.

그런데 이러면 문제점이 하나가 있는데

쳐들어온다는 문제점이 -_-;;


그래서!

최종병기를 내놓았습니다!



이런 캠페인이 있을겁니다. (no A)

공격 안하는 캠페인을 하나 만들고

D 레벨은 상관없으니 (짓지도 못하고 뽑지도 못하니)

이렇게 하고 하베스트 타운을 넣어주면

충실히 잘 캐는 일꾼 완성 ^^


참고로 Expansion Area Town 같은 경우에는 멀티도 하는 것 같은...?

'확장된 자원캐기 모드' 라는 뜻이니 뭐.... 그냥 Area Town과는 뭔가가 다를겁니다.

가스를 캐나?

이건 독자 여러분께 맡깁니다.

명언 하나 알려드리자면

'운영자 : 너무 쉬우면 재미없습니다.' <- 마비노기








13. 종족이 여러개???

예를 하나 들어볼게요.


Protoss 1 - Zerg Town (Zerg - medium D / medium A)



이런 경우는 어떻게 해야되지?? 하는 분들이 있을겁니다.

프로토스도 있는데 저그도 있고... 어떻게 해야 할까요.



결론은 괄호 안의 종족의 인공지능이 발동됩니다.







14. 특수한 AI 트리거


이건 컴퓨터의 주 체제를 변환시켜줍니다.

대충 몇개 알려드리죠.

Air Zerg Town
Air Zerg

저그의 공중유닛이 주력. (그다지 어려운 영어들이 아니므로 쉽게 이해 가능!)


Spell Zerg

플라그 등 저그의 많은 유닛들과 (특히 브루드링 잘 활용됨) 많은 마법의 조화가 이루어짐.


Overmind Defenders

확실친 않지만 이 지역의 주요 건물들을 보호하는 듯함.
아니면 오버마인드... 아니면 저그의 특수 건물들... 아니면 모든 특수건물들일지도.
실험이 필요함.



Area Town With Research

말 그대로 우리가 예전에 알아봤던 Area Town 에 마법 및 특수능력 개발을 더한 것입니다.

유닛 뽑는 것은 없음.





Scout Town 등 '유닛 타운'


특정 유닛만 열라게 뽑아서 공격하는거에요.




Protoss - Area Town With High Templar


하템을 뽑는 에리아 타운.



대충 이걸로 끝내고 99%의 귀차니즘과 1%의 독자를 위한 배려를 위해

나머지는 직접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Shrine Protoss 나 테란의 Phoenix Town 은 뭔지 궁금)






15. Expansion 과 No Expansion 의 차이?



Expansion Zerg Campaign Insane
Zerg Campaign Insane


뭐가 다를까요?

힌트- Expansion은 확장, 확장된이란 뜻입니다.



맞추신 분은 눈치가 빠름~ 흐흐


의외로 간단하지만 차이는 엄청납니다.


익스팬션이 없다 - 오리지널의 유닛 만으로 승부.
럴커 개발을 해줘도 사용 안함.
럴커가 있으면 사용할지도... 이 것 역시 실험이 필요. (아직까지 AI에 대해서 그렇게
깊이 파고든 분이 없어서 정보가 많이 부족하네요....)

익스팬션이 있다 - 모든 유닛 사용.


컴까기에서는 왠만하면 익스팬션을 써야겠죠?


쓰지 않으면 생마린과 생히드라로 돌격하는 컴퓨터군을 볼 수가 있습니다... 덜덜




16. Clear Previous Combat Data


이전의 전투내역을 지워줍니다.

이게 알고보면 상당히 유용합니다.

컴퓨터의 유닛은 동맹 트리거를 프리져브 해주지 않으면

한대 툭 실수로 쳤더라도 쫓아오면서 계속 때리죠?

드랍쉽에서 내렸다 탔다거나 죽었다 살아나면 모르지만.



이 트리거는 이전의 전투내역을 지워주는 만큼

어떤 놈 때리다가 타겟을 바꿀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적이 한명밖에 주위에 없다면

바꿔봤자 그 한명을 또 치겠죠?




이걸 이용해서 색다른 디펜스를 만들 수도 있겠네요.

중립은 상대방을 칠 일이 없기 때문에 역시 안됩니다.

인간도 안될 것으로 추정되고요.




17. Set Generic Command Target

일반적인 명령 표적을 잡는다?

무슨 뜻인지 잘 모르겠군요.

Generic을 본능적인 명령 표적을 잡는다라고 해석하면

뭐 대충 자기의 상성에 맞는 유닛을 때린다는 말인 것 같기도 합니다.




18. Cast Disruption Web

디스럽션 웹을 이 지역에 놓는 것입니다.


스킬로 특정 지역에 쓸 수도 있을듯 ^^

발동이 잘 되게 하려면 컴퓨터의 커세어나 라자갈을 텔레포트 시킨 후에 해야겠죠??





여기서 끝내면 조금 아쉬울 듯한 분들을 위하여~

보너스가 나왔습니다!


LOCATION 제외한 것도 2개만 알아봅시다!




19. Send All Units on Strategic Suicide Missions


그냥 해석하면 전군을 전략적인 자살 작전에 보낸다... 가 되겠지만

그게 아니죠.

전략적인 싸움을 한다고 하는데 과연 그럴지는 모르겠습니다...

하여튼 한 놈 죽을 때 까지 다른놈한테 원한이 쌓였어도 그 놈만 다굴깐다 이겁니다.

죽을때까지....



이 트리거를 사용한다면

휴먼 플레이어가 상당한 다굴을 맛보게 되므로

캐릭터를 공격하는 디펜스나

컴까기, 입구막기 등에 조금 사용될 지도 모르겠군요.

하지만 반대로 상당히 쉽게 될 수도 있습니다?!

예: 메딕으로 입구막고 마린으로 저글링 때리면

GG

메딕은 절대로 안전함



20. 마지막! Send All Units on Random Suicide Missions


위의 것과는 반대죠.

모든 유닛이 모든 잡스런 유닛을 칩니다.

즉 특정 표적이 있는게 아니라

랜덤... 즉 모두 때리게 하는 인공지능이죠.

상황과 맵의 제작의도에 따라서 이 2가지는 활용여부가 바뀔 것 같네요. ^^






후..... 이걸로 대강 모든 RUN AI SCRIPT 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많은 도움이 됐으면 좋겠군요.

전 이걸 이용해서 컴까기 및 '일꾼잡기 컨트롤' 맵을 만드는 중입니다. 흐흐...

아무래도 일꾼잡기 컨트롤이 더 먼저 만들어질 것 같군요.




이상 AI 에 대해서 알아본 시간이였습니다 ^^

가디언블러드의 팁~ 퍼가실 때는 제가 만들었다고 적어두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