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leatorik minuet

※맵 다운로드
  1. (M)aleatorik minuet 1.1
  2. (M)aleatorik minuet 1.0




안녕하세요? noname01입니다.
이번 맵도 게임성은 전혀 없는 맵이네요.... -_-;;
(사실 이 맵은 게임의로서의 가치보단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적용해보기 위한 의도가 크죠.)
일단 프로텍트를 걸지 않아 열어보실 수 있긴 합니다만... 코멘트가 달려있지 않기 때문에...


(중략)


이 맵은 모차르트가 알레아토릭을 도입하여 만든 미뉴엣을 구현한 맵입니다.
(알레아토릭[Aleatorik] - 예술 작품을 창작할 때 우연성이나 즉흥성을 도입하는 일.)
이 미뉴엣은 예전 스펀지라는 TV프로그램에서 나온 적이 있는데요, 이것을 직접
만들어 볼 수 있는 사이트가 있는데 아래 링크를 통하여 접속할 수 있습니다.

여기를 누르세요

저는 이 사이트에서 악보를 내려받아 셋데스 타이머를 이용해 유즈맵으로 구현을
해 보았습니다. 제작과정은 노가다의 연속이였죠. ㅠ.ㅠ
(미뉴엣 부분과 트리오 부분이 있는데 이 유즈맵에는 미뉴엣 부분만을 구현 하였습니다.)
이 곡에 대한 정보는 "알레아토릭 미뉴엣" 이라고 검색을 해보시면 쉽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
간략하게 설명드리자면,

첫번째 마디 11개
두번재 마디 11개
세번째 마디 11개
.
.
.
이런식으로 열여섯번째 마디 11개까지
총 16*11개의 마디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마디마다 주사위 두개를 던져 나온 수의 합(2~12까지 총 11가지)으로 11개의 마디중 한개를
선택합니다. 전체 길이가 16마디이니 주사위 2개를 총 16번 던져야 곡이 완성되는 것이죠.
이정도만 이해해 두시면 이 맵의 설명을 이해하시는데 충분할 겁니다.




이 맵은 새로운 인터페이스(그래봤자 많은 기능들은 싱글플레이에서만 사용할 수 있죠...OTL)
를 적용하기 때문에 사용된 유닛도 없고 사용된 로케이션도 없습니다. 오직 셋데스(미네랄)와
디스플레이 텍스트 메시지, 그리고 효과음으로만 구성되어 있습니다.
권장하는 작동환경은 EUD실행부 사용이 가능한 상태의 싱글플레이
입니다만,
멀티플레이에서나 EUD실행부 사용이 불가능한 환경에서도 기본적인 기능은 작동합니다.
(어디까지나 권장이니깐요.)

이 맵은 총 7페이지(?)로 구성이 되어있습니다. 처음 실행시키면 화면을 초기화 하고 있다는
안내 메시지가 뜨고 잠시후 첫번째 페이지를 띄웁니다. 첫번째 페이지는 음악 재생을
컨트롤 할수 있는 화면이 뜨고, 두번째에서 다섯번째 페이지는 각 마디에서 선택했던 값을
변경 할 수 있는 화면이 뜹니다. 여섯번째 페이지에는 단축키 리스트가 뜨고 마지막으로
일곱번째 페이지에는 기타 잡다한 정보가 뜹니다. 그럼 첫번째 페이지부터 살펴봅시다.
첫번째 페이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M11-1 : 첫번째 페이지

네... 위의 스샷에 보이는 삼각형이나, 진행막대나 음량막대 등을 클릭해보세요. 클릭에
반응하여 값이나 상태를 수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 EUD실행부가 사용가능한 환경이면
마우스를 갖다대거나 클릭하면 색이 바뀌는것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때 EUD실행부를
사용할 수 없는 환경이라면 몇몇 막대기나 버튼들이 회색으로 표시되는데, 이렇게 회색으로
표시되어있는 버튼이나 막대는 EUD실행부를 사용하는 기능으로 EUD실행부를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는 마우스로 클릭하거나 드래그해도 작동하지 않습니다.


세부적인 설명을 덧붙이자면

① 음량을 조절합니다. 막대기 위를 클릭하거나 드래그하여 음량을 변경할 수 있으며,
  바로 아래의 삼각형, 역삼각형 모양의 버튼을 클릭하여 변경하실 수도 있습니다.

② 현재 재생 속도를 표시하는데.... 사실 셋데스 타이머로는 1/12초 단위밖에 사용을 못하기
  때문에 재생속도는 게임속도에 의존하는 실정입니다. 재생 속도(게임속도)변경은 기존의
  기존의 단축키인 '+' 키와 '-'키로 조작할 수 있으며 재생속도를 느리게 만들면
  부득이하게 게임 속도자체가 줄어들어 트리거의 반응이 늦어집니다. 또한 EUD실행부
  사용이 불가능한 멀티플레이 환경에서는 재생속도를 변경할 수 없습니다.

③ 재생속도를 표시하는 곳 바로 아래쪽에 보면 두개의 버튼이 있는데 이 버튼들은 재생반복
  상태를 변경 및 표시하는 버튼입니다. 왼쪽에 있는 버튼을 클릭하면 반복 순서가
  변경되는데 가운데의 글자가 'X' 일때는 반복없음, 'A' 일때는 전체반복, '1' 일때는
  한곡 반복입니다. 그리고 오른쪽의 버튼은 클릭하면 임의 재생 여부가 변경됩니다.
  교차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순차적으로 재생이 되며, X자로 교차하는 모양인 상태에서는
  임의로 재생됩니다. 순차 재생으로 되어 있는 경우 첫번째 마디의 값(2~12)이 하나씩
  증가하며 첫번째 마디의 값이 11일때 다음 곡으로 넘어가면 첫번째 마디의 값은 2로 되고
  두번째 마디의 값이 하나 더해지는 방식으로 재생됩니다. 이렇게 하면 재생이 반복 될
  때마다 16마디중 한 마디만이 변경되므로 앞전에 재생되었던 곡과 비슷하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랜덤인 경우는 말 그대로 16개의 마디 모두의 값(2~12)을 랜덤으로
  결정해 줍니다. 주사위를 던져 각 마디의 값을 결정해주는 일을 자동으로 처리하는
  것이죠.(나중에 보시면 아시겠지만 수동으로 조작할 수도 있습니다.)

④ 가운데의 기다란 막대는 현재 재생되는 곡이 얼마만큼 재생되었는가를 나타내주는 막대
  입니다. 이 막대를 클릭하거나 드래그하여 현재 재생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⑤ 재생 진행막대 왼쪽 아래에는 4개의 버튼들이 있는데 왼쪽부터 순서대로
  '이전 곡', '재생/일시정지', '정지', '다음 곡' 의 기능을 가지며 다른 버튼들과
  마찬가지로 버튼을 클릭하기만 하면 해당 기능이 작동합니다.

⑥ 가운데의 가장 아래쪽에 있는 막대와 버튼들은 현재 페이지를 표시하고 다른 페이지로
  이동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가운데의 막대위를 클릭하거나 드래그하면 막대의
  위치에 해당하는 페이지로 이동 할 수 있으며, 막대의 왼쪽과 오른쪽의 삼각형 모양의
  버튼을 이용해 이전 페이지나 다음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막대 아래의 숫자는
  현재 보고있는 페이지가 몇번째 페이지인지를 표시합니다.




이번에는 두번째 페이지부터 다섯번째 페이지 까지를 살펴봅시다. 2~5페이지는 각 마디의 값
(2~12)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2페이지는 첫번째~네번째 마디의 값을,
3페이지는 다섯번째~여덟번째 마디의 값을,
4페이지는 아홉번째~열두번째 마디의 값을,
5페이지는 열세번째~열여섯번째 마디의 값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변경할 수 있는 마디만 다를뿐 같은 기능을 하고 구성도 동일하므로
두번째 페이지만 설명하겠습니다. 아래는 두번째 페이지의 스샷입니다.

M11-2 : 두번째 페이지

스샷을 보면 아시겠지만 각 마디별로 4개의 마디가 위부터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습니다.
가장 왼쪽에 마디 번호가 표시되고 마디 번호 오른쪽 아래에 현재 마디의 값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그 오른쪽에는 막대와 막대 좌우의 버튼으로 구성이 되어 있는데, 여기의 막대
역시 클릭하거나 드래그하여 각 마디의 값을 수동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물론 막대 좌우의
버튼을 클릭하여 값을 변경할 수도 있으며, EUD실행부가 사용 가능한 환경일 경우 키보드의
방향키로 값을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여섯번째 페이지 에서는 단축키 리스트를 볼 수 있습니다. 아래는 스샷입니다.

M11-3 : 단축키 리스트

위의 스샷은 EUD실행부 사용가능환경 이라서 모든 단축키들이 흰색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EUD실행부의 사용이 불가능하거나 기타 환경상의 이유로 인해 사용이 불가능한 단축키는
회색으로 표시됩니다.




마지막 일곱번째 페이지는 중요하지 않으니 그냥 넘어가겠습니다.
(제작자 이름(닉)이나, 메일 등의 정보가 적혀있습니다.)




여기에 사용된 인터페이스는 비공유 EUD조건부(마우스 포인터 좌표인식 및 클릭인식과 키인식)
를 사용하기 때문에 멀티플레이 환경에서는 음량조절, 사운드재생, 디스플레이 텍스트 메시지
등등 비공유 메모리를 조작하는 용도로밖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모든 트리거를 자유롭게 작성하려면 싱글플레이 전용맵으로
맵을 제작해야 합니다. 멀티플레이에서 사용이 가능하다면 좋을텐데 아쉽게 되었네요. ㅠ.ㅠ


음악의 퀄리티는 보장할 수 없습니다. 일단 가장 큰 문제가 트리거로는 1/12초 단위의 박자
밖에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실제 곡과 많이 다를 수 있습니다. 이 곡에는 특이하게
4박자 동안 3음을 연주하는 부분이 존재하는데 1/12초 단위로는 이것을 표현하기가 힘들어
3박자 동안 3음을 연주하고 남은 한박자는 그대로 무시되도록 되어 있는것이 대표적인 문제점
입니다. 저도 처음에 기대했던 것보다는 많이 실망스러웠지만 신개념의 인터페이스를
적용하였고, 이왕 만든거 버리기도 아까워서 한번 올려 봅니다.




noname01이 제작한 다른 맵을 보려면 이 이미지를 클릭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