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밀리토너먼트[2.0]

※맵 다운로드
1. (8)밀리토너먼트[2.0].zip




안녕하세요? noname01입니다.
오래전에 제가 제작했었던 밀리토너먼트라는 유즈맵을 완전 새로 제작해서 올리게 되었습니다.
이전 버전에서 기술의 한계 때문에 문제가 되었던 것들(대표적으로 종족 중복선택 불가능)
을 EUD 실행부를 이용하여 개선하였습니다. 그럼 본문으로 넘어가서 게임 방법과 개선된 점을
설명해 보겠습니다.

일단 기본적인 게임 방식은 이전과 같습니다.
종족을 고르고 상대와 게임을 하여 이긴 사람끼리 또다시 게임을 하여 최강자를 가려내는
게임입니다. 밀리맵, 대기실의 배치는 변화된 것이 없지만 혹시나 본 맵을 처음 접하시는
분들을 위해 한번 더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M10-1 맵의 구성도입니다. 이 맵은 밀리맵을 삽입하지 않은 공백맵입니다.

위 그림(M10-1)을 보면 크게 3가지 구역으로 나뉘어 있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① 구역은 대기실 입니다. 대기실에서는 종족을 고르거나, 기권 등의 기능을 이용하고,
상대방이 정해지지 않아 대기할 때에 사용되는 구역입니다.

② 구역은 실제 게임이 이루어지는 공간입니다. 이 구역은 7개로 나뉘어 있는데 경기를
할 때마다 한개씩 사용이 되는 1회용 밀리맵입니다.

③ 구역은 밀리맵 미리 보기 입니다. 아래 그림(M10-2)을 보시면 ③ 구역(6시방향)의
시야가 흐릿하게 밝혀져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M10-2 6시 방향은 미리보기맵

이제 예전 맵과 달라진 점과 세부적인(그래봤자 별거 없으니 긴장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게임방법을 설명해 보겠습니다.

밀리맵의 크기가 64*64에서 76*76으로 변경되었습니다.
76*76도 작긴 하지만 시즈탱크의 사정거리 때문에 더이상은 늘릴 수가 없습니다.
(늘릴수 있는만큼 최대로 늘린것이 76*76크기 입니다.)
그리고 자질구레한 강퇴기능 같은 기능을 없애버렸습니다.

아래는 맵을 처음 실행시켰을때 화면에 나타나는 모습입니다.

M10-3 EUD모드로 할까? Original모드로 할까?

이렇게 처음 맵을 실행하면 EUD 모드와 Original모드 중 한가지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뜹니다. EUD모드는 EUD실행부를 사용한 여러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Original모드는
EUD 실행부 사용이 전혀 되지 않는 모드로 EUD 실행부를 이용한 기능들이 동작하지 않습니다.

EUD 모드와 Original모드중 한가지를 선택한 후에 게임이 진행되게 됩니다.
게임이 시작된 후 상대방이 정해지지 않은 경우라면 부전승의 형태로 상대 유저가 정해질
때 까지 옵저버를 하며 대기해야 하고 상대가 정해진 경우라면 계속해서 게임을 진행하게
됩니다. 이번에 새로 제작된 밀리 토너먼트에선 기존과 전혀 다른 종족 선택 방식을
사용합니다. 아래 그림(M10-4)은 종족을 선택할 수 있는 대기실을 보여줍니다.

M10-4 대기실에선 종족선택, 기권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신이 플레이할 종족을 정했다면 가운데 세로로 깔려 있는 가스통중 종족에 맞는 가스통을
골라 테란 시민(Selector)을 해당 가스통으로 가까이 옮깁니다. 이번에 새로 제작된 버전
에서는 종족을 랜덤으로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종족을 랜덤으로 선택하려면 원하는 종족을
여러개 고르면 됩니다. 예를들어 종족 3개를 다 고르면 3개중 한 종족이 랜덤으로 선택이
되고, 3개의 종족중 두 종족을 고르게 되면 해당 2 종족중에 한가지 종족이 랜덤으로
선택되게 됩니다. 아래의 그림(M10-5)은 랜덤으로 종족을 선택한 경우의 예를 보여줍니다.

M10-5 랜덤기능 추가!!

기존 버전과 달리 새 버전에서는 기권 기능을 경기중이 아닌 대기중일때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대기실에서 종족을 선택하는 구역 아래쪽에 깃발이 있는것을 볼 수 있는데
(M10-4 참고) 자신의 테란시민(Selector)를 깃발로 옮기면 기권처리가 됩니다.
간혹 게임 시작이랑 헷갈려서 의도치 않게 기권을 하시는 분들이 일부 있었는데 이 부분을
조심하기 바랍니다. 기권 기능을 사용하면 게임에서 패한것과 동일하게 영구 옵저버모드로
변경됩니다.

종족을 모두 골랐으면 이제 아래쪽에 있는 영웅 시즈탱크를 시즈모드로 변경합니다.
시즈모드로 변경할 경우 시즈모드 하기 전에 골라둔 종족을 다른 종족으로 변경할 수
없습니다. 물론 시즈모드를 풀고 탱크모드로 변경하면 다시 종족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또 시즈모드로 되어 있을때는 게임 준비가 완료된 상태로 인식하여 옵저버 모드가 해제되게
됩니다. (여기서도 물론 시즈모드를 풀면 다시 옵저버 모드로 변경됩니다.)
따라서 상대가 정해지지 않았을 때 옵저버 모드를 이용하려면 시즈탱크를 탱크모드로
놔 두었다가 나중에 상대가 결정된 후 다시 시즈모드로 변경해야 합니다.

쌍방이 영웅 시즈탱크를 시즈모드로 변경하게 되면(쌍방 모두 준비상태이면) 카운트 다운이
시작되고 카운트다운이 끝나면 게임이 시작 됩니다. 단 Original모드에서는 둘중 한명
이상이 저그를 선택
하게 되면 라바 생성 시간(약 30초)이 추가로 더 필요하게 됩니다.
이때 기존 버전에서는 표시되지 않았던 게이지가 표시되게 되는데 이 게이지는 라바 생성이
얼마정도 되었는가를 나타냅니다. 아래는 관련 이미지입니다.

M10-6 라바를 생성하는데 꽤 많은 시간이 걸리네요 ㅇㅅㅇ

게임이 시작되면 일반 밀리 게임처럼 진행하면 됩니다.
가끔 누구랑 게임을 하게 되는지를 묻는 사람이 있어서 언급하는데 같은 대기실
사용한 사람들끼리 게임을 하고 승자만 다음경기로 넘어가는 방식으로 게임이 진행됩니다.

이제 게임중인 경기장 내에서 경기장 밖으로 나가려 할 때 텔레포트방식이 아닌 Order방식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의도하지 않게 인터셉터가 밖으로 나갔을 경우 내부로 텔레포트되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단 광클하여 나가려고 하다가 Deadline에 닿을 경우 해당 유닛은
파괴 됩니다.


이제 Original 모드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Original모드에서는 EUD실행부를 전혀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기존 버전에서의
문제점은 그대로 다 갖고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가능한 한 EUD모드를 사용하는것을 추천합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우선 종족 선택 문제입니다.
EUD실행부를 사용하지 않고서 업그레이드를 초기화 할 수 없기 때문에 Original 모드는 기존
버전과 마찬가지로 한번 선택한 종족은 다음 게임에서 다시 선택할 수가 없습니다. 이와
관련된 문제로 마인드 컨트롤의 사용이 있습니다. 마인드컨트롤을 사용할 경우 특수기술이
이전되는 바람에 타 종족의 특수기술을 개발하지 않고서 개발완료상태로 되어 버리는 문제가
생겨버리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이 역시 기존 버전과 마찬가지로 다크아칸의 마인드
컨트롤을 전혀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다음으로는 라바 생성 문제가 있습니다. 앞에서도 언급 했었던 내용인데 라바 생성속도역시
EUD실행부가 아니면 수정할 수 없기 때문에 기존 버전처럼 약 30초간 기다려야 라바가 3마리
인 채로 게임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이제 EUD 모드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우선 기존의 버전에서 문제가 있었던 업그레이드 초기화를 EUD 실행부로 구현함으로써 선택한
종족을 한번 이상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된 문제인 마인드컨트롤 역시 EUD 모드로
진행할 경우 EUD 실행부를 이용해 강제로 사용가능상태로 변경합니다. 즉 마인드컨트롤을
개발하면 해당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라바 생성 속도를 일시적으로 빠르게 만들었습니다. 기존 버전(혹은 Original 모드)
에서는 저그를 선택하면 게임 시작전 30초를 기다려야 했지만 EUD 모드로 게임을 진행하게
되면 저그를 선택 하더라도 라바 생성시간이 추가로 필요하지 않고 바로 게임이 시작됩니다.

화면 고정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키를 누르면 화면 고정기능이 켜지고 한번 더 누르면
꺼지는 토글키 방식으로 되어 있고 처음 게임을 시작할때는 꺼져 있습니다. 이 기능을 켜게
되면 화면이 자신이 경기중인 구역의 맵 밖으로 나가지 않습니다.(정확하게 말하면 나가지
않는 것이 아니라 나가면 되돌아 들어와집니다.) 약간 껄끄러워 보일수도 있어서 사용 여부는
유저의 취향에 맡기겠습니다. 화면고정기능 이용시 한가지 주의할 것은 화면고정 기능이 켜져
있을때는 기권 기능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는 대기실로 화면이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며,
기권을 하기 위해서는 화면 고정기능을 끈 뒤 대기실로 화면을 이동하여 기권을 해야 합니다.
또한 게임중이 아닌 대기중일때는 화면 고정 기능을 켜 놓아도 작동하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관전 중 유저들의 자원상황을 볼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이는 EUD 비공유 조건부를 통해 특정 유저만 리더보드를 띄울 수 있게 하는 트리거와 EUD
실행부를 이용해 켜져있는 리더보드를 강제로 제거하는 트리거를 이용하여 만들었습니다.
이 기능은 대기중인 유저에게만 게임중인 유저의 자원상태를 확인 할 수 있는 리더보드
를 띄워줍니다. 만일 대기중인 유저가 준비상태(영웅시즈탱크를 시즈모드로 변경한 상태)로
되면 자동으로 자원확인 리더보드가 제거됩니다. (물론 게임중인 상태에서도 자원잔량 리더
보드는 꺼져 있습니다. 오직 대기중(관전중)인 유저에게만 자원잔량 리더보드가 뜹니다.)

M10-7 대기중일때만 뜨는 자원표시 리더보드


마지막으로 밀리맵 교체법입니다. 기존 버전에서 그래왔듯이 새 버전에서도 밀리맵 교체
기능을 제공합니다. 기존의 방식과 거의 비슷하지만 약간 달라진 점이 있어서 새로 설명을
해 보겠습니다.

우선 주의사항입니다.
새 버전의 밀리토너먼트에는 라바 생성을 일시적으로 가속하기 위한 구조오프셋(해처리)이
사용되었습니다. 따라서 절대 엑스트라 에디터나 기본 에디터로 열어서 수정을 하면
안됩니다. 오직 SCMDraft2나 Starforge만을 이용해 주셔야 합니다.
(세디터는 안써봐서 될지 안될지 잘 모르겠네요.)
그렇지만 Starforge로 수정하는것이 SCMDraft2로 수정하는것보다 어려우므로 SCMDraft2를
이용하여 수정하는것을 권장합니다. 또한 여기서 설명하는 교체법도 SCMDraft2를 이용하는
방법만을 설명할 것입니다. 만일 엑스트라나 기본에딧과 같은 에디터로 수정한 뒤 저장을
하게 되면 미리 깔려있는 해처리의 구조오프셋이 바뀌어서 EUD모드로 게임을 진행 할 시
저그 유저는 라바를 한마리만 가지고 게임을 시작하게 되어 문제가 생깁니다.

또한 구조오프셋을 고정하기 위해 맵에 유닛 스프라이트를 깔면 안됩니다. 스프라이트를
깔게되면 그냥 유닛상태로 깔아놓은 해처리들의 구조오프셋이 변경되어 버리기 때문입니다.
어차피 유즈맵이니 중립건물을 넣고 싶다면 유닛 스프라이트 상태가 아닌 그냥 유닛상태로
깔아주세요.

그럼 본격적으로 밀리맵을 교체 하는 방법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우선 밀리토너먼트에 삽입할 76*76사이즈의 2인용 밀리맵을 하나 구합니다. 그런뒤 그 맵을
열고 스타트 로케이션 2개를 모두 제거합니다. 그리고 스타트 로케이션이 있던 자리에
Player 9의 커맨드센터 한개와 Player 9의 넥서스 한개를 깔아줍니다.
(Player 9의 커맨드 센터와 넥서스가 스타트 로케이션 역할을 합니다.)
꼭 한개씩만 깔아 줘야 됩니다. 그리고 커맨드 센터와 넥서스는 미네랄이나 가스와
3그리드 이상 떨어졌으며 건물이 건설 가능한 타일 위에 깔아
줘야 정상적으로 게임이
진행됩니다.

스타트 로케이션을 지우고 Player 9의 건물을 깔았다면 이번에는 지형 제일 아래쪽 1그리드와
그 바로 윗줄의 좌우 5그리드씩을 건물 건설이 불가능하고 유닛도 통과할 수 없는 지형으로
막아줍니다.(자세한건 아래 그림(M10-8)참조) 꼭 해줄 필요는 없지만 해당 설정을 하지 않을경우
경기장 위치에 따라 길의 폭에 변화가 생길 수 있으니까 되도록이면 해주는것이 좋습니다.

M10-8 이 설명은 SCMDraft2 에디터 기준으로 작성 되었습니다.

이제 첨부되어있는 압축파일을 다운받아 압축을 풀어줍니다. 그러면 폴더 안에
'타일셋별 밀리맵 적용안된 맵' 이라고 되어 있는 폴더가 보일 것입니다. 그 폴더 안을 보면
7종의 타일셋별로 제작되어진 공백 밀리토너먼트맵이 있을 것입니다. 그중 구해놓은 밀리맵과
같은 타일셋으로 되어 있는 것을 하나 골라 열어준 뒤 경기장에 설치되어있는 Player 9의
커맨드센터와 넥서스들을 모두 제거합니다. 이때 경기장이 아닌 맵의 중앙쪽 대기실에
해처리리들 옆에 깔려 있는 커맨드센터, 넥서스는 제거하면 안됩니다. 이 외에도
원래 맵에 깔려있는 유닛이나 다른 구조물들은 건드리면 안됩니다.

M10-9 여기에 표시된것들만 제거하세요.

(실수로 스페이스 타일셋으로 된 맵을 불러왔는데 이건 실수고 원래는 아래에 정글타일맵을
설치해야하니 정글타일셋으로 된 맵을 불러와야 됩니다.)

그럼 이제 아까 준비해둔 76*76크기의 밀리맵을 불러온뒤 레이어(Layer)를
Copy Cut Paste\Brushes로 변경하고 Windows탭을 클릭하여 Brush Palette를 열어줍니다.
이제 불러온 밀리맵 전체를 드래그 하여 선택을 한 뒤 Brush Palette 창의 아래쪽 Add Brush
왼쪽에 아무거나(?) 적어넣고 Add Brush를 클릭합니다.

M10-10 Brush만들기~~

이제 다시 밀리맵이 삽입되어지지 않은 밀리토너먼트 맵을 불러온 후 25%Zoom으로 설정
합니다. 그리고 아까 Add Brush를 눌러서 만들어 놓은 Brush를 이용하여 밀리맵을 넣을
자리에 칸을 맞춰서 넣어줍니다. 자 이제 저장을 누르고 게임을 하면 됩니다.

M10-11 붙여넣기만 하면 끝!~~

만일 게임을 실행시켰을때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며 게임이 종료되면 7개의 경기장들 중에
설치된 Player 9의 커맨드센터와 넥서스의 위치가 잘못되어있는 경기장이 있다는 뜻이므로
해당 경기장의 커맨드 센터와 넥서스의 위치(스타트 로케이션 역할)를 바로 잡아 주시면
됩니다.

M10-12 스타트 로케이션 배치가 잘못된 경기장을 미니맵에 핑으로 알려 줍니다.

마지막으로 구조오프셋을 적용한 해처리에 문제가 있어서 EUD 모드로 게임을 진행하더라도
라바가 빠르게 생성되지 않을때의 해결법입니다.

우선 SCMDraft2를 이용하여 문제의 맵을 열어 줍니다.(이때 SCMDraft2는 유닛 설치 순서를
변경할 수 있는 버전이어야 합니다.) 그런뒤 레이어(Layer)를 Units 로 변경
합니다. 그리고 맵의 가운데쪽에 있는 14개의 해처리를 한꺼번에 선택합니다. 그런뒤 엔터를
눌러 유닛 리스트를 열어줍니다. 그런뒤 아래 그림(M10-13)처럼 창이 하나 뜹니다.

M10-13

이제 14개의 해처리가 선택된 그대로 유지하고(다른건 건드리지 말고)저 창에다가 위의
그림(M10-13)에 빨간색으로 표시된 Move to Top 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렇게 하여 14개의
해처리들의 Index가 0~13으로 표시되어 있으면 정상적으로 된 것입니다. 그럼 이제
창을 닫고 저장하면 EUD모드에서 라바생성이 빠르게 진행되어 집니다.

만일 유닛 스프라이트를 깔았다면 위의 설명대로 고쳐도 적용되지 않으니까 그점은 주의해
주세요.





맵 교체법때문에 그런지 상당히 길어졌네요. 그럼 재미있게 플레이 하시고 저는 이만
물러갑니다. 맵의 버그는 댓글이나 쪽지로 저에게 알려 주시면 수정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P.S. 밀리맵 교체법을 따라해도 잘 안된다고 하시는 분들은 일단 저에게 해당 76*76크기
밀리맵을 제 이메일 (ajw9105@hanmail.net)으로 보내주시면 제가 수정해드리겠습니다.

P.S.2 그림이 좀 깨졌네요 그래도 다시 다 찍기는 귀찮으니 그냥 패스하렵니다... -ㅅ-




noname01이 제작한 다른 맵을 보려면 이 이미지를 클릭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