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리토너먼트 3.26

맵 다운로드: (8)밀리토너먼트[3.26].zip

2022년 09월 25일 밀리토너먼트가 3.26버전으로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 밀리맵 수정 없이 플레이만을 목적으로 하신다면 압축 파일에서
"밀리토너먼트(플레이용)"폴더 내의 맵만 이용하시면 됩니다.
이 맵에 사용된 밀리맵은 OSTer님께서 제작해 주신 맵과, 일부 공식맵이 사용되었습니다.

2022년 01월 12일 96 * 128 크기와 128 * 96 크기의 공식맵을 넣은 버전이 추가되었습니다.
2022년 05월 21일에는 128 * 128 크기의 공식맵(투혼)을 넣은 버전이 추가되었습니다.
추가된 맵은 다음과 같습니다.

1. MT(데스티네이션,아우토반)[3.26].scx
2. MT(신백두대간,신피의능선)[3.26].scx
3. MT(신추풍령,신단장의능선)[3.26].scx
4. MT(Fighting_Spirit-투혼)[3.26].scx



안녕하세요? noname01입니다.
정말 간만에 맵을 하나 만들어서 소개해보려 합니다.
그래봤자 기존작인 밀리토너먼트의 리메이크지만 말이죠... ㅇㅅㅇ
전에 어떤 분은 같은 맵을 무려 세 번 씩이나 리메이크를 하셨다던데
저도 세 번 까지는 아니지만 어쩌다 보니 두 번째 리메이크를 하게 되었습니다.

밀리토너먼트는 말 그대로 8명이 토너먼트 방식으로 밀리를 진행하여
최강자를 가리는 맵 입니다.

8명의 대진표는 항상 고정이며, 다음과 같습니다.

M12-1

P1, P2가 하나의 세력으로 묶여 있고, 마찬가지로 P3, P4가 한 세력,
P5, P6이 한 세력, P7, P8이 한 세력으로 묶여있으나, 이건 편의상의 묶음이고
동맹인 것은 아닙니다. 또한 랜덤 스타트 로케이션을 적용하지 않아
각 플레이어의 색상도 기본 색상 고정입니다.

한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은 3, 4위전 기능을 활성화 하려면,
각 세력(총 4 개의 세력)에 최소한 한 명 이상이 참여
해야 합니다.

전체적인 게임 진행은 위에서 설명드린것처럼 토너먼트 방식입니다.
세부 게임 진행은 순서대로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상대가 결정되었다면 게임을 시작하기 위해 종족을 골라야 합니다.
대기실을 봅시다.

M12-2

대기실에는 각 플레이어마다 3기의 테란 시민과
1기의 영웅 저글링, 1기의 경웅 질럿이 지급됩니다.
그리고 두 플레이어의 가운데에 각 종족의 가스통 등
안내를 위한 유닛이 깔려 있습니다.

종족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각 종족에 해당하는 가스통 옆으로
테란 시민을 옮겨야 합니다.

이 때 둘 이상의 종족을 선택한 경우 선택한 종족들 중에서
하나의 종족이 랜덤으로 선택됩니다.

M12-3

종족을 선택하였으면, 영웅 저글링을 버로우 해줍니다.
버로우는 게임 준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버로우를 한 상태에서는
선택한 종족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만일 다른 종족을 선택하려면 언버로우를 하고 종족을 변경한 뒤
다시 버로우를 해줍니다.

M12-4

이 때 상대가 아직 결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버로우를 하면
자동으로 언버로우 됩니다.

상대와 내가 모두 준비상태(영웅 저글링 버로우)가 되면
카운트 다운이 시작되고, 카운트 다운이 끝나면
게임이 시작됩니다.

M12-5

게임을 하다가 GG를 쳐야 할 상황이 된 경우엔 기권(GG)기능을 사용합니다.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시 대기실로 화면을 옮겨야 합니다.
(3.22 버전부터는 F8키를 누르면 화면을 쉽게 대기실로 옮길 수 있습니다)

대기실에서 제일 아래쪽에 배치된 영웅 질럿으로 안전장치를
파괴한 후 영웅 질럿을 가운데로 옮기면 기권 기능이 작동합니다.
기권 기능이 작동하면 즉시 패배 처리되고 관전모드로 전환됩니다.

M12-6

게임중(혹은 카운트다운)인 상태가 아닌 모든 경우 다른 플레이어의
게임을 관전할 수 있습니다. 즉 패배해도 즉시 퇴장당하지 않으며,
최종 승자가 정해질 때 까지 관전을 할 수 있습니다.

기존 밀리토너먼트에서 수정된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강제 퇴장 기능을 제거했더니 잠수 유저에게
    철퇴를 내릴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하여 강제 퇴장 기능을
    다시 도입했습니다. 단 해당 기능의 남용을 막기 위해
    게임에 세 명 이상 참여하고 있을때만 해당 기능이 활성화 되며,
    세 명 이상인 경우라도 과반수 이상의 동의를 얻어야
    강제로 퇴장시킬 수 있습니다.

  2. EUD로케이션 이동을 활용하여 공중벽이 개선되었습니다.

  3. 기권기능을 모르고 사용하는것을 막기 위해
    준비상태(영웅 저글링 버로우) 혹은 게임 중일 때만
    기권기능이 작동하도록 제한을 두었습니다.
    거기에 추가로 안전장치를 설치하여 실수로 기권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더욱 줄였습니다.

  4. EUD를 활용한 밀리맵 복원 트리거를 사용하여
    맵을 재활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필요한
    밀리맵의 수가 줄어들어 그만큼 밀리맵의 크기를
    확장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최대 120*120크기의
    밀리맵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5. 밀리맵 복원기능을 위해 중립 오브젝트의 설치에 제한이
    생겼습니다. 이는 맵 교체 방법 설명에서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6. 스타트 로케이션의 설치가 더욱 간편해 졌습니다.
    이제 스타팅 포인트마다 P12의 커맨드 센터[3.20 미만 버전]넥서스를
    설치하기만 하면 됩니다. 추가로 스타트 로케이션을 최대
    8개 까지 설치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7. 화면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텍스트 메시지가
    채팅을 방해하는 것을 막기 위해 EUD가 사용되었습니다.
    이제 화면에 고정된 메시지가 있어도 채팅을 할 수 있습니다.

  8. 과거 버전에서 시범적으로 도입했던 화면 고정 기능이
    제거되었습니다.

  9. 리마스터에서 EUD가 정식으로 지원됨에 따라
    오리지널 모드를 제거하고 EUD 모드로만 작동하도록
    수정되었습니다.

  10. 잡다한 버그들이 수정되었습니다.
    단 이 버전은 트리거 전체를 재구축 했으므로
    새로운 버그가 출현할 가능성이 있습니다.(?ㅅ!)


3.22버전부터 추가된 128 * 128 사이즈 밀리맵 버전은 동시에 한 경기만 진행할 수 있습니다. 상대가 결정되어 있는 상황에서 누구든지 게임을 먼저 시작 할 수 있으나, 게임이 진행중인 도중이라면 대기중인 플레이어는 게임을 시작할 수 없습니다.



밀리토너먼트에 새로운 밀리맵을 적용하는 방법을 보려면 여기를 누르세요.



새로운 밀리토너먼트 역시 밀리맵을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여기부터는 밀리맵을 교체하는 방법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일반 유저는 읽지 않고 넘어가셔도 무방합니다.

우선 밀리맵을 준비합니다.
밀리토너먼트에서 사용되는 밀리맵은 게임중 맵의 재사용을 위해
조금 까다로울 수도 있는 조건을 만족시켜야 합니다.
그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맵의 타일셋은 가리지 않습니다. 다만 유즈맵용인 인스톨레이션
    타일셋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맵의 크기는 120 * 120크기나 128 * 128크기의 밀리맵 한개 또는
    96 * 128크기의 밀리맵 한개와 128 * 96크기의 밀리맵 한개를
    준비해야 합니다. (96 * 128 크기의 맵과 128 * 96 크기의 맵은
    동일 타일셋 이어야 합니다.)
    밀리토너먼트 맵은 256 * 256 크기이고 이 맵에
    밀리맵 4개를 집어 넣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켜 줘야 합니다.

    3.22 버전부터 추가된 128 * 128 맵의 경우에는
    단 하나의 밀리맵만 넣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동시에 최대 한경기만 진행 가능).

  3. 모든 자원과 중립 건물, 스타트 로케이션은 타일에 맞춰
    (그리드가 아닌 타일) 설치해야 합니다. 이 때 저그 에그와 동물,
    다크스웜, 웹, 중립 동물은 타일에 맞출 필요가 없습니다.
    이유는 건물 계열 중립 오브젝트는 트리거로 생성 시
    타일에 맞춰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맵 재사용 시 중립 오브젝트를 트리거로 다시 생성합니다.)

    3.25 버전에서 추가된 어시밀레이터는 역시간형 섬맵용으로
    유닛류 중립 오브젝트처럼 타일에 맞지 않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4. 미네랄은 총 4가지 종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중 한가지는 건설 가능 타일에만 설치 가능한 [3.24 미만 버전]
    정량 미네랄 입니다. 나머지 3종류는 건설 가능/불가능 타일에 설치,
    미네랄 함량 등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미네랄 종류를 다르게 하는 법은 나중에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3.24 버전부터는 4 종류의 미네랄 모두 타일의 건설 가능 여부나
    겹침 여부에 상관없이 설치 가능합니다.

  5. 베스핀 가스는 2가지[3.20 미만 버전]4 가지 종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가스는 미네랄과 다르게
    네 종류 모두 건설 가능 타일에만 설치할 수 있으며,
    [3.24 미만 버전]
    미네랄과 마찬가지로 4종류 중 한가지는
    정량 가스입니다.
    가스 종류를 다르게 설치하는 법 역시 나중에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3.24 버전부터는 4 종류의 가스 모두 타일의 건설 가능 여부나
    겹침 여부에 상관없이 설치 가능합니다.

  6. 스타트 로케이션은 무조건 자원과 3그리드 이상 간격을 두고
    설치해야 합니다.(빠른무한과 같은 연출이 불가능합니다.)
    이는 스타트 로케이션에 스타팅 건물을 트리거로 생성해야
    하기 때문입니다.[3.20 미만 버전]
    모든 스타트 로케이션은
    건설 가능 타일에 설치되어야 합니다. 3.20 버전부터는
    빠른무한처럼 미네랄 근처에 스타트 로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7. 스타트 로케이션은 최소 2개에서 최대 8개 까지
    설치할 수 있습니다. 게임을 할때에는 이 중 2개가 랜덤으로
    결정되어 사용되게 됩니다.

  8. 밀리맵의 지형이 너무 복잡하여 밀리토너먼트에 밀리맵 4개를
    넣었을 때 맵 실행이 불가능하면 안됩니다. 또한 맵을 4개나
    넣어야 하는데다가 그중 두개의 밀리맵은 복원기능을 위해 추가로
    유닛을 할당해야 하므로, 밀리맵에 미리 설치된 오브젝트가
    너무 많은 경우 캔낫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을 주의하시기
    바랍니다.(이 맵은 EUD가 사용되었으므로 유닛 제한 1700)

    3.22버전부터 추가된 128 * 128 맵의 경우에는
    밀리맵을 하나만 넣기 때문에 이러한 제약이 완화됩니다.

  9. 밀리맵 재사용을 위한 복원을 위해, 설치 가능한
    중립 오브젝트의 종류를 아래 목록으로 제한합니다.

    • Zerg Hatchery
      [3.25 버전에서 추가됨]
    • Zerg Lair
      [3.25 버전에서 추가됨]
    • Zerg Hive
      [3.25 버전에서 추가됨]
    • Zerg Egg(러커에그는 안됩니다.)
    • Zerg Creep Colony
    • Zerg Sunken Colony
      [3.25 미만 버전]
      (크립 콜로니와 성큰 콜로니는 크립 제공용으로, 무조건
      건설 가능 타일에만 설치해야 하며, 겹칠 수 없습니다.)

      3.25 버전부터는 성큰 콜로니와 크립 콜로니도
      겹치거나, 건설 불가능 타일 위에 설치할 수 있습니다.
    • Zerg Overmind (With Shell)
    • Zerg Overmind
    • Mature Crysalis
    • Zerg Cerebrate(Daggoth는 안됩니다.)
    • Overmind Cocoon
    • Terran Command Center
      [3.20 버전에서 추가됨]
    • Norad II
    • Ion Cannon
    • Psi Disrupter
    • Power Generator
    • Protoss Assimilator
      [3.25 버전에서 추가됨]
      역시간형 섬맵용으로,
      타일에 맞지 않게 설치 가능
    • Khaydarin Crystal Formation
      [3.20 버전에서 추가됨]
    • Stasis Cell/Prison
    • Protoss Temple
    • Warp Gate
    • Xel'Naga Temple
    • Disruption Field
    • Dark Swarm
    • Rhynadon, Ursadon,
      Ragnasaur, Scantid
      3.20 버전부터는 이 네 종류의 동물을
      설치하면 그 자리에 이 동물들 중
      하나가 랜덤으로 생성됩니다.
    • Bengalaas(고양이는 항상 무적입니다.
      선기도 방지용으로 설치하세요.)
      (제작자가 고양이 덕후라서 고양이를 무적으로
      만들었다 카더라...)

      ※ 동물 중 카카루는 설치할 수
      없습니다[3.20 미만 버전].
    • Kakaru
      [3.20 버전에서 추가됨]
      카카루는 어떤 곳에 설치하든, 맵이 복구될 때
      맵의 한 가운데에 설치한 수만큼 생성이 됩니다.

      ※ 카카루의 수가 너무 많으면 건물 출구 막힘
      경고와 함께 설치한 숫자보다 적은 수가
      생성될 수 있습니다.

  10. 건설 불가능 타일에 중립 건물이나 미네랄을 설치할 때에는
    미네랄이나 중립 건물이 차지하는 공간 전체를 건설 불가능
    타일로 깔아줘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건물을 겹쳐서
    건설할 수 있게 됩니다. 중립 건물을 겹쳐서 건설하는
    경우에도 중립 건물이 차지하는 공간에 건설 불가능 타일을
    깔아 주는 것이 좋습니다. [3.24 미만 버전]


    3.24 버전부터는 중립 건물이나 미네랄/가스를 설치할 때에
    더 이상 타일의 건설 가능 여부를 신경쓰지 않아도 됩니다.



밀리맵을 준비했으면 밀리맵을 밀리토너먼트에 사용하기
적합하도록 약간의 수정을 해 줍시다.

먼저 스타트 로케이션을 모두 지워버리고 그 자리에 P12 소유의
커맨드센터[3.20 미만 버전]넥서스를 설치해 줍니다.
3.20 버전부터는 커맨스 센터를 중립 건물로 설치할 수 있는 대신
스타트 로케이션 역할을 하는 건물로 넥서스를 설치해야 합니다.

(스크린샷은 구버전에서 찍어서 넥서스 대신 커맨드 센터가 깔려 있습니다)

M12-7

이제 아래 스크린샷처럼 맵의 제일 아래 1그리드(가로)와
왼쪽 아래, 오른쪽 아래 꼭지점의 폭 5, 높이 2그리드 만큼을
건설 불가 및 통행 불가 지형으로 막아버립니다.
(NULL 타일이나, 물 타일 등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이 작업은 맵에 따라 필요 없는 작업일 수 있습니다.

M12-8

이제 이 상태의 밀리맵을 저장합니다. 지금까지 수정한
밀리맵은 재사용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일회용 밀리맵으로 사용될 겁니다.

3.22버전부터 추가된 128 * 128 맵의 경우에는
일회용 밀리맵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 맵에서는
맵을 하나만 넣어 반복적으로 재사용 합니다.

위에서 수정한 일회용 밀리맵을 복사합니다.
이제 이 맵을 기반으로 재사용을 위한 밀리맵을
만들 것입니다.

재사용을 위한 과정이라고 해 봤자 별거 없습니다.
미네랄 종류와 가스 종류를 구분하기 위한 작업만
하면 됩니다.

먼저 미네랄을 4 종류로 구분합니다.
예를 들어

  1. 건설 가능 타일에 설치한 정량 미네랄(고정)
  2. 건설 불가능 타일에 설치한 함유량 1000 미네랄
  3. 건설 불가능 타일에 설치한 함유량 64 미네랄
  4. 건설 가능 타일에 설치한 함유량 0 미네랄

※ 건설 불가능 타일에 설치한 미네랄은 건설 가능 타일 혹은
건설 불가능 타일에 설치한 미네랄과 겹칠 수 있습니다.
[3.24 미만 버전]


3.24 버전부터는 모든 종류의 미네랄을 건설 불가능 타일에도
설치 가능하고 겹쳐서 설치도 가능합니다.

이렇게 미네랄을 네 종류로 구분했으면 각 종류마다
미네랄의 소유 플레이어를 변경해 줍니다.
1번의 경우 P12그대로 두면 됩니다.
2, 3, 4번은 각각 P11, P10, P9 소유로 변경합니다.
이 때 어떤 종류를 어떤 플레이어의 소유로 했는지를 기억합니다.

베스핀 가스도 미네랄과 마찬가지로 2가지 종류로 구분한 뒤
정량 가스는 P12소유 그대로 두고, 함유량이 수정된 가스는
P11소유로 변경합니다[3.20 미만 버전].

베스핀 가스도 미네랄과 마찬가지로 4가지 종류로 구분한 뒤
정량 가스는 P12소유 그대로 두고, 함유량이 수정된 가스를
각 분류별로 P11, P10, P9의 소유로 설치합니다.
3.20 버전부터 베스핀 가스도 미네랄과 마찬가지로
4 가지 종류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 모든 베스핀 가스는 무조건 건설
가능 타일에만 설치할 수 있습니다.
[3.24 미만 버전]


3.24 버전부터는 가스도 겹치거나,
건설 불가능 타일에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미네랄과 가스를 종류에 따라 소유 플레이어를 변경한 맵을
저장합니다. 이 맵이 재사용을 위한 맵입니다.

다음 과정으로 밀리토너먼트 틀을 필요한 타일셋으로 변경합니다.
만일 준비한 밀리맵이 스페이스 타일셋이라면 이 과정은 수행할
필요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첨부된 밀리토너먼트 틀이
스페이스 타일셋이기 때문입니다.

첨부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압축을 풀어봅니다.
폴더 내에 "밀리토너먼트(수정용)" 이라는 폴더가 있을 것입니다.
그 안에서 자신이 원하는 크기의 맵을 선택합니다.

120 * 120 크기의 밀리맵 하나를 사용할 것이라면
"MT(120×120)[3.26].scx" 맵을,
128 * 128 크기의 밀리맵 하나를 사용할 것이라면
"MT(128×128)[3.26].scx" 맵을,
96 * 128크기의 맵 하나와 128 * 96크기의 맵 하나를
사용할 것이라면 "MT(96×128)[3.26].scx" 맵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선택한 밀리토너먼트 맵을 준비한 밀리맵과 동일한
타일셋으로 변환합니다. 이 때 미리 깔려있는 유닛이나 건물이나
제거되지 않도록 건물과 유닛을 아무데나 놓을 수 있는 옵션을
켜 둡니다.

스크린샷은 구버전에서 찍어서 최신버전의 SCMDraft와 조금 다릅니다.
최신 버전의 밀리토너먼트를 편집하려면 리마스터 호환 버전의
SCMDraft를 사용해야 합니다.

M12-9

이제 지형 틀을 가져옵니다. 첨부 파일을 압축 풀어 보면
지형 틀이라는 폴더가 세개 존재할 것입니다. 세 폴더 중에서
원하는 사이즈의 폴더를 열고 그 안에서 필요한 타일셋의 맵을
열어줍니다.(괄호안의 알파벳은 타일셋 이름의 첫 글자 입니다.)

이제 Brush Palette를 열어 주고
지형 틀의 지형 전체(256 * 256)를 복사합니다.
(128 * 128 맵의 경우 192 * 128 만큼을 복사)
이 때 한꺼번에 전체를 복사하면 나중에 붙여넣을 때
맞추기 힘들 수 있으므로 반정도 나눠서 복사하는게 좋습니다.

M12-10

복사했으면 "MT(N×M)[3.26].scx" 맵에
복사한 타일을 붙여넣습니다.
이제 원하는 타일셋의 밀리토너먼트 틀이 완성되었습니다.
(스크린샷은 구버전에서 찍어서 현재 버전과는 조금 다르게 생겼습니다)

M12-11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미리 수정해둔 밀리맵 두 종류를
밀리토너먼트에 집어넣습니다. 이 때 아래 스크린샷처럼
왼쪽 두개의 맵은 재사용을 위한 밀리맵을,
오른쪽 두개의 맵은 재사용하지 않는 일회용 밀리맵을
붙여 넣습니다.

128 * 128 맵의 경우에는 128 * 128 크기의
재사용 밀리맵 하나만 붙여 넣습니다.

M12-12

마지막으로 아까 구분한 4종류의 미네랄과
2종류의[3.20 미만 버전]가스가 맵 복원시
제대로 적용되도록 트리거를 조금 손봐줍니다.

해당 트리거만 P9에 모아뒀으므로 클래식 트리거 에딧을 열고
P9를 선택합니다.(AllPlayers의 트리거 목록을 클릭하면
에디터가 튕길 수 있으므로 주의하세요.)[SCMDraft 구버전 기준]


이곳을 보면 미네랄 분류 0 ~ 3 가스 분류 0 ~ 3 이렇게
주석이 달려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M12-13

여기서 분류 0이 P12 소유의 미네랄/가스,
분류 1, 2, 3, 순서대로 각각
P11, P10, P9의 미네랄/가스의 특성을 적용 시켜주면 됩니다.

미네랄은 각 분류마다 3종류씩(type 1, 2, 3) 트리거가
있는데, 한 분류의 트리거들은 모두 동일하게 값을 수정해 줘야
합니다.

아래 스크린샷에 표시된, 건설 불가능 타일에 미네랄을 설치하거나
미네랄을 겹쳐서 설치할 수 있게 해 주는 옵션은 3.24 버전부터
제공되지 않습니다.

3.24 버전부터는 이러한 옵션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모든 종류의
미네랄과 가스를 겹치거나 건설 불가능 타일에 설치할 수 있습니다.

M12-14

가스도 미네랄과 마찬가지로 수정해 주시면 됩니다.
단 가스는 건설 불가능 타일에 설치 가능한 옵션이 없습니다.
즉 가스는 항상 건설 가능 타일에만 설치 가능합니다.
[3.24 미만 버전]

3.11 버전부터는 스타트 로케이션(P12 커맨드센터[3.20 미만 버전]넥서스)
을 설치할 때, 오버로드 시작 위치를 지정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 오버로드가 나왔으면 하는 자리에 P12의
포토캐논을 깔아주면 됩니다.

주의해야 할 점은 P12 커맨드센터넥서스와 간격을 두지 않고 붙여서
설치해야 합니다. 예시를 볼까요?
(스크린샷은 구버전에서 찍어서 넥서스 대신 커맨드 센터가 깔려 있습니다)

M12-15

이렇게 P12 커맨드센터넥서스(스타트 로케이션)에 바짝 붙여서
P12의 포토캐논을 설치하면, 게임 시작 시 그 자리에서
오버로드가 나옵니다.

M12-16

이렇게 모퉁이 끝에만 살짝 걸쳐도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M12-17

하지만 이렇게 아예 깔지 않거나, 1 그리드 이상의 간격을
두게 되면, 오버로드가 그냥 해처리 바로 위에 나오게 됩니다.

3.26 버전부터는, P12 소유의 포토캐논
(저그로 시작시 오버로드 시작 위치 표시용)
과 완전히 동일한 좌표에 P12 소유의 파일런을 깔아 주면,
해당 스타팅에 한해서 일꾼이 스타팅 건물 윗쪽에
생성되게 됩니다.

미네랄이 본진 건물 위에 배치된 스타트 포인트에만 사용하세요.

오버로드 시작 위치까지 지정했다면, 모든 작업이 끝났습니다.
프로텍터를 거실분은 걸어주시고 파일 이름을 적당히 바꿔서
플레이 하시면 됩니다.



밀리맵 추가 방법 접기



※ 수정 내역





noname01이 제작한 다른 맵을 보려면 이 이미지를 클릭해 주세요.